파이썬에서 자료형은 필요에 따라 서로 변환할 수 있는데, 이를 형 변환이라고 한다.
int( ) : 정수로 변환
float( ) : 실수로 변환
str( ) : 문자로 변환
* 주의 : 실수에서 정수로 변환하는 경우,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이 아닌 버림이 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. 즉, int(2.7) 의 결과는 3이 아닌 2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.
* 주의 : 만약 '3.14'와 같이 실수값에 따옴표로 감싸있는 문자 자료형을 정수 자료형으로 변환하고 싶다면, 문자 자료형 -> 실수 자료형 -> 정수 자료형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. 즉, int('3.14')와 같이 바로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, int(float('3.14')) 와 같이 변환해야 하는 것이다.
bool( ) : 불리안으로 변환
- 참이면 True, 거짓이면 False로 변환된다.
- 값이 있으면 True, 값이 없으면 False로 변환된다.
문자 자료형의 경우, 다음과 같다.
a = 'hello' -> 값이 있음
b = ' ' -> 값이 있음
c = '' -> 값이 없음
숫자 자료형의 경우, 0이 아닌 모든 수는 True, 0은 False로 변환된다.
d = 1 -> 값이 있음
e = -2 -> 값이 있음
f = 0. -> 값이 없음
파이썬의 키워드 중에서 '값이 없음'을 의미하는 None의 경우는 False로 변환된다. 즉, bool(None) 의 결과는 False이다.
* 출처 : 유튜브 '나도코딩' 채널을 참고하여 간단히 정리했습니다.